전국 박물관 미술관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7 / 2024-12-25 03:00:04
덕소자연사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석실로 46-11
'한국탁본자료관'에서 0.7km
바로가기
덕소자연사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석실로 46-11
'한국탁본자료관'에서 0.7km
바로가기
프라움악기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경강로 756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4km
바로가기
프라움 악기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경강로 756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4km
바로가기
한강뮤지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경강로926번길 30
'한국탁본자료관'에서 3.3km
바로가기
미호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고산로126번길 15-2
'한국탁본자료관'에서 3.9km
바로가기
양구인문학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파로호로 869번길 101
'한국탁본자료관'에서 89.8km
바로가기
화진포 역사안보전시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이승만별장길 33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45.3km
바로가기
덕소자연사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619-9
'한국탁본자료관'에서 0.72km
바로가기
프라움 악기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504-41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42km
바로가기
한강뮤지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784-0
'한국탁본자료관'에서 3.26km
바로가기
미호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3-1
'한국탁본자료관'에서 3.93km
바로가기
하남역사박물관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694번지 1호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16km
바로가기
남양주역사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237-3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26km
바로가기
예당국악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321-1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88km
바로가기
목멱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산 146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08km
바로가기
현대어린이책미술관 MOKA GARDEN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6141-0 현대프리미엄아울렛SPACE1
'한국탁본자료관'에서 7.31km
바로가기
고구려대장간마을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 42번지 1호
'한국탁본자료관'에서 9.9km
바로가기
세미원 연꽃박물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430번지 6호
'한국탁본자료관'에서 9.99km
바로가기
왈츠와 닥터만 커피박물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삼봉리 272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0.29km
바로가기
와부도서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월문천로 43
'한국탁본자료관'에서 0.73km
바로가기
하남시디지털도서관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한강로 290-2
'한국탁본자료관'에서 2.97km
바로가기
하남시나룰도서관
경기도 하남시 덕풍북로 180
'한국탁본자료관'에서 3.26km
바로가기
하남시미사도서관
경기도 하남시 아리수로 54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3.42km
바로가기
하남시일가도서관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남로 10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23km
바로가기
강일도서관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93길 9-14,4,5층(강일동)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62km
바로가기
하남시신장도서관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740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8km
바로가기
하남시세미도서관
경기도 하남시 세미로1길 1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83km
바로가기
하남시덕풍도서관
경기도 하남시 역말로 14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57km
바로가기
정약용도서관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중앙로82번안길 138
'한국탁본자료관'에서 6km
바로가기
고덕평생학습관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29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6.3km
바로가기
토평도서관
경기도 구리시 장자대로 140(토평동)
'한국탁본자료관'에서 6.8km
바로가기
원격평생교육시설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대로 1139, 11층 알1166호(길동,강동그린타워)
'한국탁본자료관'에서 28.35km
바로가기
언론기관부설
충청남도 보령시 지장골길 52-5, 2층(죽정동)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46.5km
바로가기
학교부설
인천광역시 중구 월미로 338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69.56km
바로가기
장애인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로 243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57.94km
바로가기
지식인력개발형태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한티고개길57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3192.81km
바로가기
사업장부설
충청남도 보령시 한내로 87(동대동)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3192.81km
바로가기
원격대학형태
광주광역시 북구 서양로 64 (2층)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3192.81km
바로가기
시민사회단체부설
충청남도 보령시 화산큰길 27-19(화산동)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3192.81km
바로가기
학교형태
광주광역시 서구 칠성로 131 , 3층 (쌍촌동)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3192.81km
바로가기
2021년 하남시민 화합의 공연문화 및 제등축제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694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21km
바로가기
하남사진작가협회 회원전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694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21km
바로가기
하남미술협회전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694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21km
바로가기
하남도예가협회 정기전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694
'한국탁본자료관'에서 4.21km
바로가기
[SAC ON SCREEN] 봉장취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434-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98km
바로가기
[SAC ON SCREEN] 안중근 천국에서의 춤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434-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98km
바로가기
[SAC ON SCREEN] 돌아온다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434-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98km
바로가기
[SAC ON SCREEN] 병동소녀는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434-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98km
바로가기
[SAC ON SCREEN] 늙은부부이야기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434-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98km
바로가기
[SAC ON SCREEN] 여자만세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434-5
'한국탁본자료관'에서 5.98km
바로가기
[남양주 역사문화 아카데미] 구글맵으로 찾아보는 남양주의 역사와 문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85-10
'한국탁본자료관'에서 6.25km
바로가기
[경기 문화네트워크 협력사업] 어름사니 공연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85-10
'한국탁본자료관'에서 6.25km
바로가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1239 (방이동,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0.61km
바로가기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융복합대학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1239(방이동)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0.61km
바로가기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1239 (방이동,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0.61km
바로가기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1239 (방이동,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0.61km
바로가기
한국체육대학교
서울특별시 송파구 양재대로 1239 (방이동,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0.61km
바로가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 (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1.05km
바로가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 (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1.05km
바로가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 (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1.05km
바로가기
장로회신학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 (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1.05km
바로가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 (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1.05km
바로가기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 (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1.05km
바로가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5길 25-1 (광장동, 장로회신학대학교)
'한국탁본자료관'에서 11.05km
바로가기
생생한 후기 작성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차이나 타운, 고등학생 이후로 처음 와 본 곳인데요 !! 이전과 비교하면, 정말 많이 발전하였고 곳곳에 무료로 관람하기 좋은 장소들이 있더라구요 ♡ 차이나 타운 의, 모든 것은 다 담을 수는 없겠지만 ~ 그래도, 개인적인 선호도로 좋았던 장소들 대 방출 할께요 인천...
21년생 아들육아 중(2019-06-28 17:00:00)
서원으로 한국 성리학의 중심지역할을 하였다. 한석봉, 김정희, 이산해 등 당대 명인의 친필현판이 남아있다. 선조 5년(1572)에 경주부윤 이제민이 처음 세웠고...제586호)과 김부식의 『삼국사기』완본 9권 등 많은 서적이 보관되어 있다. 옥산서원은 조선 후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제외된 47개의 서원 중 하나로...
박태문 포토에세이(2017-12-14 10:58:17)
비석의 탁본, 영의정 잠곡 김육의 초상화, 조선후기 성행한 상업적인 민간 출판도서 방간본, 어린이 교육을 위한 교재 아희원람 등의 도서와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상품경제의 진전에 따라 도시문화가 발전하였고 거리에서는 청중을 모아놓고 이야기책을 낭독하는 전기수(강독사)와 이야기꾼(강담사)이 출현하여 소설...
쿠니의 아웃도어 라이프(Kooni's Outdoors Life)(2012-02-16 20:28:00)
연구소장, 한국탁본자료관 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나호열 시인의 이번 시집의 시들은 시간과 이 시간 속에서 더욱 간절해지는 인간의 욕망의 관계를 생각하게 해 준다. 그의 시들을 읽으며 그의 언어가 다시 불러내는 시간 속의 여행이라고 황정산 시인은 말한다. 추천사 시간은 사이를 메꾸는 질료이다. 존재와 존재...
바람의 궁전(2019-11-17 17:33:35)
교수로 한국에 온 후 서울 인사동과 중국 베이징의 고서점을 훑으며 19세기 조선과 청나라 학자들에 관련된 자료를 수만 점 수집했다. 그의 아들이자 역시 동양...완숙한 경지에 들어간 모습과 아직 여물기 직전의 형태를 또렷하게 보여준다"고 평했다. ◆ 조선 후기의 문화적 자신감 서울대 정옥자 교수는 "추사는...
자닮 세무회계 세금연구소 [송대권 세무사의 자료실](2022-01-18 17:29:00)
조선 후기의 문화적 자신감=서울대 정옥자 교수는 "추사는 모든 분야에서 '올 에이(all A)'를 받을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문학.역사.철학.시.그림 등에서 모두...추사의 친구인 조인영이 청나라 학자 유희해(劉喜海)에게 조선의 금속 탁본 97건을 적어 보낸 '해동금석존고'(海東金石存攷) 등 소중한 자료가 다수 포함...
"꽃가마 결혼"의 블로그(2006-02-03 12:17:00)
동백 후기」)과 어둡고 속박된 그림자 존재에서 벗어난다. (「긴 편지 2」) 이처럼 마음의 안정화는 시인에게 꿈의 날개를 달게 하고, 꽃보다 아름다웠던 아침을 보게 한다. (「목발 3」, 「목발 5」) 시인은 마음의 안정화를 통해 자유를 획득한 것이다. 그런데 이 자유는 아이러니하게도 그늘진 ‘등’에서 더 확장...
세상과 세상 사이(2021-06-01 15:25:40)
역사 자료관 甘木歷史資料館 종 탁본, 촬영 4.19 후쿠오카 福岡 후쿠오카 시립 박물관 福岡市立博物館 시카우미진자 志賀海神社 종 탁본, 촬영 중요 문화재 4.20 후쿠오카 福岡 후쿠오카 공항에서 출발 명문으로 보는 수난의 역사 일본에서 현재 소재가 확인되는 한국종은 통일신라시대 종이 6기, 고려시대 종이 52...
송풍수월 (松風水月)(2013-09-29 15:38:00)
조선 후기 역사자료, 한글로 쓰여진 소설, 시가 작품, 국어학 관련 자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01년 연세대학교 DL 사업과 2006년 역사자료정보화사업을 통해 구축되었습니다. 기독교 고문헌 - 개화기에서 한국 전쟁 이전에 간행된 초기 성경 자료와 찬송가, 선교사들의 연차보고서 등 한국 초기 기독교 관련...
its1224-님의 블로그(2018-03-30 02:35:00)
선비의 한국적 리더십은 나라가 어지러워지거나 국난을 맞이했을 때 율곡 이이의 10만 양병설처럼 더욱 빛을 발한다. 또한 선비는 우리 민초들의 고된 삶과 정권...조광조부터 '세계사적 격변기 비운의 의병장' 운미 민영익까지 조선 후기사회를 이끌고 간 우리 선비 25명의 올곧은 삶과 철학이 고스란히 배어 있다...
일간문예뉴스 문학iN(2004-04-10 11:3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