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박물관 미술관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박물관미술관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7 / 2024-12-25 03:00:04
여주 지역사 교육연구회는 여주지역뿐 아니라 여주와 연결된 곳도 함께 답사를 다니고 있다. 5월 이천 민주화운동 기념공원에 이어 6월엔 몽양 기념관을 방문한 것이다. 몽양기념관은 예전에 혼자서 온 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여러명이 함께 오고 해설사가 나와서 해설을 해주니 확실히 다르다. 더군다나 다 읽지를...
여주역사 이야기 님의 블로그(2025-07-01 21:56:00)
숙종 41년에 지어진 이 집은 몽양이 태어나서 22세까지 살았던 곳이다. 1908년 부친의 탈상을 마치고 서울로 떠나기까지, 그의 인격과 사상의 기초가 형성된...복원되었다. 비록 새로 지은 건물이지만, 조선 후기 양반가의 전형적인 구조를 충실히 재현했다. 기념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2023년 5월 25일 새롭게...
귀농·귀촌;전원생활(2025-08-28 14:30:41)
몽양 여운형생가.기념관 바로가기 : https://blog.naver.com/dsad47/223178172871 여운형 묘소 바로가기 : https://blog.naver.com/dsad47/223197446347 제1부 독립운동의 길 : 용담유사 : 최재우 조선 후기, 천도교 중앙도서관 복제 여운형 가족사진 : 1934년 몽양기념관 배재학당 : 1887년 배재학당역사박물관 여운형...
산나드리(2025-09-25 18:23:00)
박물관과 몽양기념관이 공동 주최한 여운형: 남북통일의 길 특별전 인데요. 뭉양 여운형 선생은 한평생을 민족의 독립과 통일에 바쳤지만, 살아생전 친일파, 공산주의자 등 상반된 누명에 시달리고 결국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하였어요. 독립운동가 여운형 선생의 삶과 업적을 경기도박물관에서 무료로 만날 수 있답니다...
늘담 : 늘 담아가는 공연과 전시 기록(2025-10-16 10:14:00)
만화로도 선생의 말씀을 알려주고 있네요. ♧ 신원역 도착 트레킹 종료 ♧ 몽양기념관에서 도로를 걸어 내려와 경의중앙선 철로 교각을 지나 신원역에 도착해서...신원역사 앞에 '정초부지게길' 안내판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정초부는 조선 후기 노비출신 시인인데 14년 전 부용산 산행을 하면서 저도 알게 된 뿐...
너울의 창(2024-09-26 19:56:19)
독립기념관 전시관 뒤편 최상단에 위치한 추모의 자리로 가는길 우측에 조성되어 있는 시어록비 공원을 중심으로 둘러보도록 할게요. 전시관 뒤편 산책로를...사상을 느낄 수 있답니다. 월남 이상재 선생의 시어록비 조선 후기 사회 운동가인 월남 이상재 선생의 시어록비에는 나라의 위기를 예견하고 경각심을...
보고, 배우며, 즐기는 독립기념관!(2025-05-20 09:25:00)
양평에 몽양기념관이 세워졌고, 묘소는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김구 , 여운형 선생 같은 분들이 끝내 살아남았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또 다른 모습이 아니었을까, 현장에서 깊은 생각에 잠기게 된 시간이었던것 같습니다.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 안내 센터 1941년 지어진 일본식 주택으로 해방 후...
역사담(2025-08-24 22:31:00)
대한 후기를 꼭 들어봐야겠다.) 수십장의 문양들이 있었지만 아쉽게도 사진찍는 것을 잊어서 달랑 한 장밖에 없다. 이렇게 강의와 타투를 하고 나서는 드디어 '색면작업'을 시작했다. 바닥에는 커다란 비닐을 깔아놓았고, 위에 흰색의 천을 준비해놓았다. 이 천 위에 각자가 원하는대로 표현해보는 것. 각자 비닐장갑...
Life Q - 철학은 기술이다(2025-09-12 23:09:09)
경기도 양평에 가면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과 평화통일을 위해 일생을 바친 그 분의 삶과 정신을 전하기 위한 몽양 여운형 생가기념관이 있어 다녀왔습니다. 얼마 전 10주년을 맞아 보수를 마치고 새로운 모습으로 개관을 해서 그런지 관람 분위기도 좋았고 특히 잘 모르고 지났던 부분들도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어 유익...
시골가족의 여행과 취미 그리고 일상 이야기(2022-03-08 06:10:00)
조선 후기 양근 지역을 대표하는 양반가였다. 정초부는 함양 여씨 가문의 후손 여춘영의 소유였다. 여씨 집안에서는 한시를 곧잘 짓는 범상찮은 재주를 가진 정초부를 문중의 자제와 함께 교육시켰다. 특히 정초부보다 스무 살 아래였던 여춘영은 그를 단순한 하인으로 부리지 않고, 신분과 나이를 뛰어넘어 교감했다...
"조하식의 즐거운 집"(2025-10-16 07:3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